2025년 7월 4일, 국회는 총 31.8조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(추경안)을 최종 통과시켰습니다.
이번 추경은 침체된 내수를 살리고, 민생 안정을 도모하며,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데 중점을 두고 편성되었습니다.
그렇다면 2025년 하반기, 우리의 일상과 지갑에는 어떤 변화가 찾아올까요?
핵심 내용과 함께 달라지는 지원금과 정책을 정리해드립니다.
✅ 1. 전 국민 대상 '소비 쿠폰' 지급
- 지급 대상: 전 국민
- 지급 금액: 1인당 15만 원 상당의 온·오프라인 사용 가능 쿠폰
- 지급 시기: 7월 21일부터 순차 지급 예정
- 사용처: 대형마트, 전통시장, 온라인 쇼핑몰, 여행·문화·외식 업종 등
👉 소비 진작 효과를 노린 일회성 쿠폰이지만, 여름철 가계 부담을 덜어줄 수 있어 기대감 높음.
✅ 2. 저소득층·취약계층 맞춤 지원 확대
- 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계층 등에게는 별도의 에너지 바우처 및 생계비 지원금 추가 지급
- 긴급복지 생계비 기준 완화 → 갑작스러운 위기 상황 시 더 많은 가구가 혜택 받을 수 있도록 조정
- 한부모·노인가구 대상 주거지원비 일시금 10~20만 원 지급 추가 편성
✅ 3. 청년·신혼부부 대상 대출·자산 형성 정책 강화
- 청년 희망적금 한시 확대 운영: 연 5% 이자 지원 + 3년 만기 후 목돈 형성
- 신혼부부 전세대출 금리 0.5~1.0%p 인하
- 청년 월세 지원금 20만 원 → 30만 원으로 상향 (소득 기준 완화)
✅ 4. 중소상공인·자영업자 긴급 지원
- 긴급 경영안정자금 1조 원 이상 증액
- 고금리 대출을 2%대 저리 정책자금으로 전환 지원
- 배달·관광·문화업종 등 한파 업종에 대한 세금 납부 유예 및 전기·가스요금 감면
👉 한때는 포기할 뻔한 소상공인도 다시 숨을 쉴 수 있는 환경 조성 목표
✅ 5. 미래 산업 집중 투자: AI·반도체·바이오
- AI 반도체 테스트베드 구축 예산 신규 편성
- 바이오헬스 혁신기업 R&D에 1조 이상 배정
- 지역 청년 대상 디지털·그린 뉴딜 훈련 사업 확대
👉 단기 경기 부양만이 아닌, 중장기적 성장 기반 확보에도 투자 집중
💡 정리하며
2025년 하반기 추경은 소비 진작, 민생 안전망 강화, 미래 산업 투자라는 세 갈래 전략을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.
무엇보다 국민 개개인에게 체감되는 지원이 늘어난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가 나옵니다.
👉 내가 받을 수 있는 지원금은 어떤 게 있는지, 꼭 체크해보세요!
곧 시작될 15만 원 소비쿠폰도 놓치지 마시고요!